전체 글29 브랜드의 범위 결정과 효과적인 브랜드 관리 브랜드의 범위 결정 기업은 효과적인 브랜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품에 부착되는 브랜드의 범위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제품별로 각기 다른 브랜드를 부착하는 개별 브랜드(individual brand)와 제품마다 공동의 브랜드를 부착하는 공동 브랜드(family brand)가 있으며, 또한 하나의 제품에 두 개 이상의 브랜드 네임을 결합해서 부착하는 결합 브랜드 (co-brand)가 있습니다. 개별 브랜드는 기업에서 생산되는 제품별로 각각 다른 브랜드를 부착하는 전략으로써 브랜드별로 차별적인 개성을 확립하기 쉬워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유리합니다. 그리고 개별 브랜드를 지원하는 마케팅 활동이 특정 제품에 맞추어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표적 시장의 고객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 2022. 8. 31. Aaker와 Keller의 연구 모델 최근 브랜드 자산의 형성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지만, 그중에서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에서는 Aaker와 Keller의 연구 모델이 대표적입니다. Aaker의 연구 모델 Aaker(1991)는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로서 브랜드 충성도 (Brand loyalty), 브랜드 인지도 (brand awareness), 제품의 지각된 품질(perceived quality), 브랜드 연상(brand association) 이미지, 기타 독점적 브랜드 자산 등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소비자 관점에 기반을 둔 브랜드 자산의 구성 요소들이며,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브랜드 자산을 전략적으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이론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각 구성 요소들의 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 2022. 8. 30. 소비자와 기업 측면에서 본 브랜드의 이점 이번 글에서는 소비자와 생산자(기업) 입장에서 본 브랜드의 이점에 대해 총정리해보겠습니다. 소비자 측면에서 브랜드의 이점 브랜드가 소비자 측면에서 볼 때, 여러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몇 가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소비자에게 브랜드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원천이나 생산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에, 만약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제조 업체나 유통업체에 대해 책임 소재를 분명하게 할 수 있습니다. 둘째,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에 대한 지식을 갖게 되면, 제품에 대한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제품 탐색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즉,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일반적으로 내외적 정보탐색을 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기존의 특정 브랜드에 대해서 품질이나 제품 특성 등을 잘 알고 있.. 2022. 8. 29. 소매상의 개념, 중요성, 기능, 구분 기준 소매상의 개념과 중요성 소매는 개인적 혹은 비영리적 목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최종 구매자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여 가치를 제고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또한 이와 같은 활동을 하는 유통업을 소매업(retail trade)이라고 하며, 이런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체를 소매상(retailer) 혹은 소매 기관, 소매업이라고 합니다. 소매상의 최종 구매자는 영리 활동을 위한 재판매를 목적으로 구매하지 않고, 개인적인 목적을 위해 구매하는 소비자들로 구성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정 기업이 소매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이 필요합니다. 미국에서는 전체 매출액 중에서 개인적인 목적을 위해 구매하는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는 비중이 50% 이상인 조직체를 소매상이라고 합니다. 소매상의 의미를 고려할 때,.. 2022. 8. 28.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