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상의 개념과 중요성
소매는 개인적 혹은 비영리적 목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최종 구매자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여 가치를 제고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또한 이와 같은 활동을 하는 유통업을 소매업(retail trade)이라고 하며, 이런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체를 소매상(retailer) 혹은 소매 기관, 소매업이라고 합니다. 소매상의 최종 구매자는 영리 활동을 위한 재판매를 목적으로 구매하지 않고, 개인적인 목적을 위해 구매하는 소비자들로 구성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정 기업이 소매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이 필요합니다. 미국에서는 전체 매출액 중에서 개인적인 목적을 위해 구매하는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는 비중이 50% 이상인 조직체를 소매상이라고 합니다. 소매상의 의미를 고려할 때, 최종 구매자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어떤 개인이나 기업도 소매기능(retailing function)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화점, 슈퍼마켓 등과 같은 유형적인 점포를 통해서 판매하는 경우만이 아니라, 인터넷 쇼핑몰, TV홈쇼핑, 방문 판매, 자동판매기 등 다양한 판매 경로를 통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도 최종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것이라면 소매와 관련된 활동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매업이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습니다. 우선 소매업은 국가 경제나 고용 창출 효과 면에서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국내 총생산(GDP)에서 도매 및 소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7 ~ 7.5 %를 차지하여 제조업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매 및 소매업의 유통 산업 취업자 및 사업체 수는 15~16%로 제조업체 다음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매업은 소비자와의 최종 접점에서 소비자의 욕구 변화를 파악하고 채울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기 때문에 점차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형태의 소매업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소매상의 기능은 어떤 것일까?
유통 경로는 제조업체,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등으로 구성되며, 소매상은 제조업체와 최종 소비자 사이에서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제조업체가 생산한 제품은 도매상, 소매상을 거쳐 가치가 증대되며, 소비자에게 전달되어 판매가 발생하기 때문에 소매상은 제조업체와 도매상의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고,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하여 제조업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처럼 소매상이 수행하는 기능은 크게 제조업체를 위한 기능과 소비자를 위한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소매상은 제조업체를 위하여 판매 대행을 통한 시장 커버리지 확대, 주문 처리, 광고 및 판촉 등 촉진 활동, 재고 유지, 소비자의 다양한 정보 제공, 고객 서비스 대행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소매상은 소비자를 위하여 다양한 제품 구색 제공, 소량 구매를 위한 제품 분할, 제품 관련 정보 제공, 신용 정책을 통한 금융 지원, 배달, 설치,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소매상의 구분 기준
소매상을 구분하여 유형화(categorizing)하는 것은 소비자들이 경쟁을 이해하고, 소매업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이행하는 것을 도울 수 있습니다. 소매상은 소비자를 상대로 판매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변화에 민감하며, 소비자의 세분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소매상이 발전되어 왔습니다. 따라서 소매상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한 가지 기준을 발견하기 어려우며, 소매상을 구분하는 기준은 여러 연구자에 의하여 매우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습니다. 소매상은 제품 구색의 폭과 깊이에 의해서 전문점이나 백화점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가격이나 서비스 수준에 따라서 편의점,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등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또한 점포의 소유 형태에 따라서 독립적인 소매상, 체인, 수직적 마케팅 시스템 등으로 유형화할 수도 있고, 가장 일반적인 점포의 유무에 따라서 슈퍼마켓, 온라인 쇼핑몰, TV 홈 쇼핑 등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구분 기준 이외에도 수익률과 회전율의 높고 낮음, 입지나 크기 등에 의해서 소매상을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댓글